Part 1. 관사
산업혁명이 시작된 영국은 과거부터 상행위가 발달한 곳입니다. 사람들은 물건을 사고팔아 이득을 추구하는 행위 속에서, 그 물건이 누구의 소유인지, 팔려는 물건인지 아니면 이미 팔린 물건인지와 같은 것들을 아는 것이 주요 관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따라서 농경 중심의 사회였던 우리나라와는 달리, 그들이 쓰는 언어에는 물건을 지칭하는 표현들이 발달해 있습니다.
영어에서 물건 앞에, 그 물건을 지칭하는 수식어로 가장 흔히 사용하고 있는 것은 관사입니다. 관사가 물건을 지칭하는 수식어로서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습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과 1상자를 구매하려 한다고 가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흔하게는 먼저 직접 과일가게에 가서 사과 1상자를 고르고는 배달해 달라고 하는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이때 과일가게 주인은 가게 안에 있는 사과 상자들 중에서 아무것이나 배달해 주어서는 안되며, 손님이 고른 해당 사과 상자만을 배달해 주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 사과 상자는 손님이 배달해 달라고 특정[지정]해 놓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 물건을 지칭하는 수식어로 '특정'을 의미하는 것은 정관사입니다. 따라서 가게 주인이 배달해야 할 사과 상자는 the box of apples로 표현합니다.
두 번째로는, 과일가게에 전화해서 여러 과일들 중에서 사과로 1상자를 배달해 달라고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땐 과일가게 주인은 가게 안에 있는 여러 사과 상자들 중에서 임의로 1상자를 골라 배달해 주면 됩니다. 왜냐하면 손님과 가게 주인은 어떤 사과 상자를 배달할 것인지를 미리 특정해 놓은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 물건을 지칭하는 수식어로 '여러 개의 동일한 종류의 것(사과상자)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의미하는 것은 부정관사입니다. 따라서 가게 주인이 배달해야 할 사과 상자는 a box of apples로 표현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부정관사와 정관사에 대해서 다시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1장 부정관사
부정관사는 여러 개의 동일한 종류의 것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즉 부정관사에서 ‘부정(不定)’은 ‘정하여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부정관사가 나타내는 하나는 임의의 하나가 됩니다.
부정관사는 셀 수 있는 명사에서만 쓰입니다. 셀 수 없는 명사 앞에는 여러 개의 동일한 종류의 것들을 전제로 하는 부정관사가 올 수 없기 때문입니다. 문장에 쓰인 부정관사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의미를 나타내게 됩니다.
예문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여러 개의 동일한 종류의 것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
David is a Korean. 데이비드는 한국인이다. 여러 한국인들 중에서 한 명
There is a banana on the table. 바나나가 탁자 위에 있다. 여러 개의 바나나들 중에서 임의의 한 개
* the same 같은 They are not of an age. 그들은 동갑이 아니다.
17세, 18세, 19세, 20세, ....’ 등 여러 나이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an age)를 의미하므로, 예문은 같은 나이(가령, 모두 같은 17세)가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어느 정도’
Tom has a few friends and a little money. 톰은 몇 명의 친구와 약간의 돈이 있다. few는 ‘수가 거의 없는(적은)'의 뜻이고 little는 양이 거의 없는(적은)’의 뜻이지만, 앞에 '여러 개의 동일한 종류의 것들’을 전제로 하는 부정관사가 붙으면, a few는 조금은 있는' a little는 얼마쯤은 있는'의 뜻이 됩니다.
John stood there for a time. 잠시 동안 거기 서 있었다. 약간의 시간
I have a knowledge of Korean literature. 나는 국문학에 대해서 (전문가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알고 있다. 약간 또는 어느 정도의 지식
* Any '어떤 ~ 라도(총칭)'
[A dog] is a faithful animal. 개는 충실한 동물이다.
[The dog] is a faithful animal. 개는 충실한 동물이다.
[Dogs] are faithful animals. 개는 충실한 동물이다.
위의 가로 친 부분들은 모두 개라는 동물을 총칭하는 표현들입니다. 우리말로는 모두 개는 충실한 동물이다.’해석되고 있는데요. 위 문장들이 이렇게 해석되는 이유는 조금씩 다릅니다.
A dog이 개를 총칭하는 이유는 부정관사의 의미가 '여러 개의 동일한 종류의 것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dog이라 불리는 전체 중에서 임의의 한 마리를 선택하여 살펴볼 때 a faithful animal이므
로, 모든 개가 충실한 동물이라는 해석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TV를 만드는 공장에서 TV를 만든 후 제품의 품질 검사를 한다고 가정해 보기로 하겠습니다. 모든 제품을 꼼꼼히 검사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겠지만, 여건상 그렇게 할 수 없을 때에는 완성된 10대의 TV 중 임의로 1대를 선택해서 검사를 하고, 그 검사한 제품이 이상 없으면, 검사한 제품을 포함한 10대의 TV 모두가 이상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시중에 유통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에서 제품 하나를 보고 10대의 TV 모두가 동일하게 품질이 우수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그 검사한 제품이 임의로 선택된 것이므로 마치 샘플처럼 대표성을 가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하나 더 이해하고 넘어간다면, 형용사나 대명사로 쓰이는 any가 긍정문에서 '무엇이든[누구라도]’, 부정문에서 '아무것도[아무도]와 같이 ‘총칭하는 의미로 해석되는 이유입니다. any는 부정관사와 어원이 동일한 단어로, 부정관사에서 살펴본 것과 이유는 동일합니다.
두 번째 예문의 The dog은 상황에 따라서는 개들 중에서 어느 특정한 개를 지칭할 때도 있겠지만, 여러 종류의 동물들 중에서 특정 종류의 동물인 개를 지칭할 때에는 개를 총칭하는 의미를 나타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예문의 Dogs는 복수형으로 부정관사가 전제로 하는 여러 개의 동일한 종류의 것들'을 일반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총칭하는 의미를 표현하게 됩니다.
per ~마다, 당’
He calls on his parents once a week. 그는 일주일에 한 번 부모님을 찾아뵙는다. 부정관사에는 총칭하는 의미가 있으므로, (모든) 주에 한 번은 부모님을 찾아뵙는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해집니다.
We work at a wage of $50 a day. 우리는 하루에 50달러의 임금을 받고 일한다. 일하는 (모든) 날을 총칭
* 고유명사에 쓰이는 부정관사
A Smith is looking for you. 스미스라는 사람이 너를 찾고 있다.
This is a Rodin. 이것은 로댕의 조각이다.
고유명사는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다른 것들과 구별하기 위해 쓰는 이름이므로, 고유명사 앞에는 임의의 하나를 나타내는 부정관사를 쓰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고유명사 앞에 부정관사를 쓰게 된다면, 그것은 그 명사가 더 이상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지칭하는 고우 사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 문입니다. 즉, 부정관사는 여러 개의 일한 종류의 것들 중에 하나'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예문들은 고유명사(Smith)와 이름이 같은 여러 사람들 중에서 임의의 한 사람' 또는 여러 개의 고유명사(Rodin)의 작품들 중에서 임의의 한 작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합니다.
* 핵심 체크 정리
부정관사는 여러 개의 동일한 종류의 것들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나타내는 한정사(명사를 수식하는 품사)이다.
* 확인학습문제
1. He was as a poet.
① the failure ② failure ③ a failures ④ a failure
*해설: ① 문맥상 '특정한 사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the failure(x), ② 단수형태의 가산명사 앞에는 수식어(한 정사)를 써 주어야 한다. ③ 부정관사는 하나를 의미하므로 복수형 앞에 쓸 수 없다. ④ failure는 여러 명의 실패한 사람들 중에서 임의의 한 사람'을 의미하므로 어법상 맞는 표현이다. 해석: 그는 시인으로서 실패한 사람이다.
정답 ④
2.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I have a knowledge of physics. ② A fox is a cunning animal. 3 I met a Mr. Smith at the party. ④ We have extra classes on Monday, Wednesday, and Friday, three days the week.
해설
① a는 ‘어느 정도의 의미. 해석: 나는 물리학에 대해 좀 알고 있다. ② A는 ‘총칭'의 의미. 해석: 여우는 간교한 동물이다.
③ a는 이름이 Smith인 사람들 중에서 임의의 한 명을 의미. 해석: 파티에서 Mr. Smith를 만났다. ④ 문맥상 ~마다, 당(=per)'의 의미가 와야 하므로, the week → a week. 해석: 우리는 일주일마다 3일, 즉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과외수업이 있다.
정답 ④
'영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하기 기초영문법 4. 셀 수 없는 명사 (1) | 2021.09.04 |
---|---|
말하기 기초영문법 3. 셀 수 있는 명사 (2) | 2021.09.01 |
영문법 개념 정리 2.정관사 (2) | 2021.08.31 |
말하기 영문법 2. (5형식, 2형식) (1) | 2021.08.30 |
말하기 기초 영문법(1) 1형식, 3,4형식 (0) | 2021.08.23 |